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유용한 정보/생활정보

재산세 부과기준, 과세기준일 (주택,아파트,토지)

by 메이로그인 2025. 9. 14.

 

 

재산세는 매년 부과되는 세금이지만, 어떻게 계산되고 누가 얼마나 내야 하는지는 생각보다 복잡할 수 있어요. 오늘은 재산세 부과기준에 대해 아주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주택 재산세, 아파트 재산세, 토지 재산세뿐 아니라 공동명의 재산세, 감면 혜택까지 모두 다뤄볼게요.

 

 

 

 

재산세 부과 기준

 

 

 

재산세란 무엇인가요?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 건물, 토지 등 부동산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예요. 이 세금은 해당 부동산이 위치한 시·군·구청에서 부과하고 징수합니다.

 

 

재산세 과세 기준일

 

 

재산세 부과 기준일은?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건 바로 과세 기준일이에요.

  • 기준일: 매년 6월 1일
  • 납세의무자: 그날 기준 소유자 (등기 기준)

예를 들어, 집을 6월 2일에 팔았더라도, 6월 1일에 소유하고 있었다면 그 해 재산세는 내가 납부해야 해요.

 

 

 

 

 

재산세 과세 대상

 

다음은 재산세가 부과되는 대상이에요.

  • 주택 (아파트 포함)
  • 주택 부속토지
  • 일반 토지 (주택과 무관한 토지)
  • 건축물

 

 주택 & 아파트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공정시장가액비율(2025년: 60%)을 곱해서 과세표준을 산출하고, 여기에 누진세율을 적용해 세금을 계산해요.

 

 토지

주택 외의 나대지, 상가부지, 논, 밭 등은 토지 재산세로 과세되고, 세율도 다릅니다.

 

 

 

재산세 부과 대상

 

 

 

과세표준 계산 방식

 

과세표준 = 공시가격 × 공정시장가액비율
예) 공시가격 5억 원 × 60% = 3억 원 (과세표준)

 

 

✅ 재산세율 (주택 기준)

과세표준 구간 적용 세율
0 ~ 6천만 원 0.1%
6천만 ~ 1억5천만 원 0.15%
1억5천만 ~ 3억 원 0.25%
3억 원 초과 0.4%

 

이 외에도 지방교육세도시지역분이 추가로 붙는 경우가 많아요.

 

 

 

 

재산세 납부기간과 납부방법 카드혜택 (주택/아파트/토지)

2025 재산세 납부기간, 알고 계신가요? 9월에는 토지분 재산세와 주택 2기분 재산세 납부기간이 시작됩니다. 재산세 납부기간 조회는 물론, 카드 혜택, 공동명의 재산세 처리법, 재산세 계산기 활

meiiilog.com

 

 

 

 

 

공동명의 재산세

 

 

 

공동명의 재산세는 어떻게 부과되나요?

 

공동명의 재산세의 경우, 지분만큼 나눠서 고지서가 각각 발급돼요. 예를 들어 부부 공동명의로 50:50이면, 각자 고지서를 받아 **각자의 지분에 대한 세금만 납부**하면 됩니다.

 

 

 

 

재산세 감면

 

 

 

1세대 1주택 감면 기준

 

1세대 1주택자에게는 세율 감면 혜택이 있어요.

  •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세율 최대 50% 감면
  • 공시가격 9억 원 이하: 일부 감면 적용
  • 만 60세 이상 + 5년 이상 보유: 고령자·장기보유 감면

 

토지 재산세 부과 기준

 

주택이 아닌 토지(주택 부속토지 제외)는 9월에 재산세가 부과돼요.

  • 과세표준: 개별공시지가 × 공정시장가액비율
  • 세율: 0.2% ~ 0.5% (누진세)
  • 도시지역분 별도 부과 가능

 

 

 

 

 

정리: 재산세 부과기준 요약표

 

항목 내용
기준일 매년 6월 1일
과세 대상 주택, 아파트, 건축물, 토지, 부속토지
공정시장가액비율 60% (2025년 기준)
세율 구조 누진세 (0.1% ~ 0.5%)
감면 대상 1세대 1주택, 고령자, 장기보유자 등

 

 

 

 

재산세 조회

 

마무리

 

이렇게 2025년 재산세 부과기준을 정리해 봤습니다. 재산세 계산기를 활용하면 실제 납부세액을 미리 예측해 볼 수 있으니, 위택스나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꼭 한 번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