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정보/신기한 상식

고조선부터 조선까지 왕 계보 총정리 | 한국사 연표와 업적

by 메이로그인 2025. 8. 27.

 

 

 

한국사 공부 필수!  “고조선부터 대한제국, 현대 대한민국까지 한국 역사 왕들의 계보와 주요 업적, 사건들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 고려, 임시정부까지 시대별 핵심 내용과 연대표를 표로 깔끔하게 확인하세요.”

 

 

 

1. 고조선 (기원전 2333년 ~ 기원전 108년)

재위기간 주요 업적
단군왕검 전설상의 인물 고조선 건국 (기원전 2333년), 홍익인간 이념
부왕·준왕 미상 연나라 침입, 고조선 말기 준왕은 위만에게 왕위 빼앗김

 

 주요 사건: 위만 조선 성립 → 한나라의 공격 → 고조선 멸망 (기원전 108년)

 

 

 

 

 2.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

 

 고구려 (기원전 37년 ~ 668년)

재위기간 주요 업적
주몽 (동명성왕) BC 37 ~ BC 19 고구려 건국
태조왕 53 ~ 146 옥저·동예 복속, 왕권 강화, 족장 연합체 정비
고국천왕 179 ~ 197 을파소 건의로 진대법 시행(흉년 구제 제도)
미천왕 300 ~ 331 낙랑군 정복, 대외 영토 확장
고국원왕 331 ~ 371 백제 근초고왕과 전투 중 전사
소수림왕 371 ~ 384 불교 공인, 태학 설립, 율령 반포
광개토대왕 391 ~ 413 영토 최대 확장(만주, 한강 이북) · 신라 지원해 왜구 격퇴 · 연호 '영락' 사용
장수왕 413 ~ 491 평양 천도 · 남진 정책으로 한강 장악
영양왕 590 ~ 618 수나라 침입 격퇴 · 온달 장군 전사
보장왕 642 ~ 668 연개소문 집권기 · 당·신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

 

백제 (기원전 18년 ~ 660년)

재위기간 주요 업적
온조왕 BC 18 ~ AD 28 백제 건국
고이왕 234 ~ 286 율령 반포, 관등제·관복제 정비
근초고왕 346 ~ 375 전성기 · 마한 정복 · 고구려 고국원왕 전사시킴 · 일본에 칠지도 하사
침류왕 384 ~ 385 불교 공인
성왕 523 ~ 554 사비 천도 · 국호 '남부여'로 변경 · 관산성 전투 중 전사
의자왕 641 ~ 660 삼천궁녀 전설 · 나당연합군 공격으로 멸망

 

신라 (기원전 57년 ~ 935년)

재위기간 주요 업적
박혁거세 BC 57 ~ AD 4 신라(사로국) 건국
내물왕 356 ~ 402 김씨 왕위 세습 시작 · 왜구 격퇴(고구려 원조)
지증왕 500 ~ 514 국호 '신라'로 변경 · '왕' 칭호 사용 · 우경(소 농사) 장려
법흥왕 514 ~ 540 불교 공인 · 율령 반포 · 골품제 정비 · 상대등 설치
진흥왕 540 ~ 576 화랑도 정비 · 대가야 정복 · 한강 유역 진출 · 순수비 건립
선덕여왕 632 ~ 647 최초 여왕 · 첨성대 건립 · 분황사 창건 · 불교 진흥
문무왕 661 ~ 681 삼국통일(외형상 통일, 당 축출) · 수중릉 조성
혜공왕 ~ 경순왕 8세기 ~ 935 신라 하대 · 왕권 약화 → 후삼국 분열

 

 

 

 

 

 3. 후삼국 시대 (900 ~ 936)

국가 건국자 멸망
후고구려 901~ 918 궁예 → 왕건 918 → 고려 건국
후백제 900~ 936 견훤 936, 고려에 멸망
신라 (재위 927~935) 경순왕 935, 고려에 항복

 

 *후삼국 통일 (936년)

  • 왕건(고려 태조)이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후삼국을 통일
  • 고려 건국의 기반을 확립 → 이후 약 500년간 고려 왕조 존속

 

 

 

 

4. 고려 34대 국왕 정리 (918 ~ 1392)

재위기간 주요 업적·사건
태조 왕건 918 ~ 943 고려 건국 · 훈요10조 · 혼인정책
혜종 943 ~ 945 왕권 약화 시작
정종 945 ~ 949 광군 설치(거란 대비)
광종 949 ~ 975 노비안검법 · 과거제 실시 · 왕권 강화
경종 975 ~ 981 시정전시과 실시
성종 981 ~ 997 시무28조 수용 · 유교 정치 확립
목종 997 ~ 1009 강조의 정변으로 폐위
현종 1009 ~ 1031 거란 침입 격퇴 · 귀주대첩(강감찬)
덕종 1031 ~ 1034 단명
정종 1034 ~ 1046 왕권 약화
문종 1046 ~ 1083 관료체제 완성 · 고려 전성기
순종 1083 재위 1개월 · 단명
선종 1083 ~ 1094 문벌 귀족 강화
헌종 1094 ~ 1095 단명
숙종 1095 ~ 1105 주전도감 설치 · 의천 활동
예종 1105 ~ 1122 국자감·청연각 설치 · 유학 진흥
인종 1122 ~ 1146 이자겸의 난 · 묘청 서경천도운동
의종 1146 ~ 1170 문벌 귀족 전횡 · 무신정변(1170)
명종 1170 ~ 1197 무신 집권 시작 · 조위총의 난
신종 1197 ~ 1204 최충헌 집권 기반 마련
희종 1204 ~ 1211 최충헌 집권 강화
강종 1211 ~ 1213 단명
고종 1213 ~ 1259 몽골 침입 · 강화 천도
원종 1259 ~ 1274 삼별초 항쟁 · 원 간섭 심화
충렬왕 1274 ~ 1308 원나라 부마국 체제 확립
충선왕 1298, 1308 ~ 1313 개혁 시도(정치도감)
충숙왕 1313 ~ 1330, 1332 ~ 1339 원 간섭 지속
충혜왕 1330 ~ 1332, 1339 ~ 1344 폐위·복위 반복 · 원 예속 심화
충목왕 1344 ~ 1348 어린 왕 · 원 간섭 지속
충정왕 1349 ~ 1351 원 간섭 심화 · 단명
공민왕 1351 ~ 1374 반원 자주정책 · 기철 숙청 · 전민변정도감
우왕 1374 ~ 1389 왜구 침입 · 위화도 회군 전야
창왕 1389 ~ 1389 단명 · 최영 실각
공양왕 1389 ~ 1392 조선 건국으로 왕조 교체

 

 

 

5. 조선 27대 국왕 정리 (1392 ~ 1910)

왕 (휘) 재위기간 주요 업적·사건
태조 (이성계) 1392 ~ 1398 조선 건국 · 한양 천도 · 신흥 사대부 등용
정종 (이방과) 1398 ~ 1400 왕권 정비 시도 · 개국 초 혼란 수습
태종 (이방원) 1400 ~ 1418 6조 직계제 · 호패법 · 사병 혁파 · 토지·호적 정비
세종 (이도) 1418 ~ 1450 훈민정음 창제 · 집현전 · 측우기 · 농사직설 · 과학·문화 진흥
문종 (이향) 1450 ~ 1452 경국대전 편찬 진척 · 유교 행정체제 정비
단종 (이홍위) 1452 ~ 1455 어린 군주 · 사육신 충절 · 세조에 폐위
세조 (이유) 1455 ~ 1468 계유정난 · 단종 폐위 · 집현전 폐지 · 경국대전 편찬 시작 · 직전법
예종 (이황) 1468 ~ 1469 단명 · 제도 정비 미완
성종 (이혈) 1469 ~ 1494 홍문관 설치 · 경국대전 완성 · 문화 전성기 · 중앙집권 확립
연산군 (이융) 1494 ~ 1506 무오·갑자사화로 사림 탄압 · 갑신사화 · 향락 정치 · 중종반정 유발
중종 (이역) 1506 ~ 1544 중종반정 · 조광조 개혁 · 현량과 · 기묘사화로 개혁 좌절
인종 (이호) 1544 ~ 1545 개혁 시도 · 단명
명종 (이환) 1545 ~ 1567 을사사화 · 문정왕후 수렴청정 · 불교 부흥
선조 (이연) 1567 ~ 1608 붕당 정치 시작 · 임진왜란·정유재란 · 의병·이순신 활약
광해군 (이혼) 1608 ~ 1623 대동법 확대 · 중립외교(명·후금) · 인조반정으로 폐위
인조 (이종) 1623 ~ 1649 인조반정 · 정묘·병자호란 · 삼전도 항복
효종 (이호) 1649 ~ 1659 북벌 계획 · 군제 정비(효종대 북벌론)
현종 (이연) 1659 ~ 1674 예송논쟁(기해·갑인)
숙종 (이순) 1674 ~ 1720 환국 정치(경신·기사·갑술) · 장희빈 사건
경종 (이윤) 1720 ~ 1724 단명 · 소론·노론 갈등 격화
영조 (이금) 1724 ~ 1776 탕평책 · 균역법 · 신문고 부활 · 속대전
정조 (이산) 1776 ~ 1800 규장각 · 초계문신제 · 수원 화성 · 친위 군사 강화
순조 (이공) 1800 ~ 1834 세도정치 본격화(안동 김씨) · 삼정 문란 시작
헌종 (이환) 1834 ~ 1849 세도정치 지속 · 사회 기강 문란
철종 (이변) 1849 ~ 1863 삼정 문란 극심 · 진주민란 등 농민 봉기
고종 (이재황) 1863 ~ 1897 흥선대원군 집권 · 경복궁 중건 · 서원 철폐 · 병인박해 · 강화도조약 · 갑신정변 · 대한제국 선포
순종 (이척) 1907 ~ 1910 한일병합으로 국권 상실

 

* 사실상 조선은 1897년 까지인 셈이다.

 

 

 

갑신사화란? 연산군 시대, 피로 얼룩진 조선의 또 다른 비극

최근에 ‘폭군의 셰프’에서 갑신사화란 내용이 나왔습니다. 저도 궁금해서 ‘갑신사화 뜻’이나 ‘갑신사화란’을 검색해 보았습니다. 조선 시대를 이야기할 때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단어가

meiiilog.com

 

 

 

 

 

 

 6. 대한제국 (1897 ~ 1910)

황제 재위기간 주요 업적
고종 (광무황제) 1897 ~ 1907 대한제국 선포, 광무개혁
순종 1907 ~ 1910 한일합병조약 체결, 국권 피탈
  • 대한제국 황제로서의 재위: 1897년 ~ 1907년
  • 1907년, 일본의 강압으로 퇴위 → 순종 즉위

 

 

7. 대한민국 임시정부 & 이후 (1919 ~ 현재)

시기 주요 사건 대통령
1919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상하이) 임시정부 주석 이승만 외
1945 광복, 38선 분할, 미·소 군정 실시 -
1948 대한민국 정부 수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이승만(1~3대)
1950 ~ 1953 6.25 한국전쟁, 정전협정 체결 이승만
1960 4.19 혁명, 이승만 하야 윤보선(4대)
1961 5.16 군사정변, 군정 시작 박정희(5~9대)
1972 유신헌법 제정, 장기집권 체제 강화 박정희
1979 박정희 피살(10.26 사건) 최규하(10대)
1980 5.18 광주민주화운동, 전두환 집권 전두환(11~12대)
1987 6월 민주항쟁, 대통령 직선제 개헌 노태우(13대)
1993 문민정부 출범 김영삼(14대)
1997 IMF 외환위기, 긴축 정책 시행 김영삼
1998 ~ 2003 제1차 남북정상회담, 햇볕정책, 노벨평화상 수상 김대중(15대)
2003 ~ 2008 탄핵소추 → 기각, 참여정부 출범 노무현(16대)
2008 ~ 2013 4대강 사업, 글로벌 금융위기 대응 이명박(17대)
2013 ~ 2017 국정농단 사태, 촛불집회, 탄핵 박근혜(18대)
2017 ~ 2022 판문점 선언, 평창 올림픽, 코로나19 대응 문재인(19대)
2022 ~ 2024 자유민주주의·법치 강조, 한미·한일관계 강화, 비상계엄 선포 후 탄핵 윤석열(20대)
2025 ~ 현재 국정 정상화 시도, 사회통합 정책 전개 이재명(21대)

 

 

 정리 요약표 (시대별 연대표)

시대 기간 특징
고조선 기원전 2333 ~ 기원전 108 단군 신화, 위만 조선
삼국시대 기원전 57 ~ 668 고구려·백제·신라 삼국 경쟁
통일신라 668 ~ 935 삼국 통일, 불교 문화 발달
후삼국 900 ~ 936 후고구려·후백제·신라
고려 918 ~ 1392 왕권·문벌귀족→무신→원 간섭→멸망
조선 1392 ~ 1897 유교 사회, 과학·문화 발달, 사화·왜란·호란
대한제국 1897 ~ 1910 근대개혁 시도, 국권 상실
일제강점기 1910 ~ 1945 강점, 독립운동, 임시정부
대한민국 1948 ~ 현재 공화정, 민주화, 경제성장

 

 

결론

고조선에서 시작해 삼국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을 거쳐 오늘날의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왕들의 계보와 주요 사건은 한국사의 큰 줄기를 형성해 왔습니다. 왕 한 사람 한 사람의 업적과 사건은 단순히 과거의 기록이 아니라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 왕 연표를 비롯해, 고조선부터 현대 대한민국까지의 역사를 표와 함께 정리했습니다. 이 자료를 통해 한국사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고, 시험 준비나 자녀 교육, 자기 계발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역사는 단순히 과거가 아니라 현재를 이해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힘입니다. 앞으로도 우리 민족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며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가는 지혜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

 

 

 

*잘못된 내용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