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유용한 정보/생활정보

축의금 기준 친한친구,직장동료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

by 메이로그인 2025. 8. 11.

 

결혼식 초대장을 받으면 가장 먼저 드는 고민,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입니다. 결혼식 축의금뿐 아니라 돌잔치 축의금, 직장동료 축의금, 친한 친구 축의금까지 정리했습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 법과 이름 위치, 액수 기준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축의금 기준

 

1. 축의금 기준을 결정하는 3대 요소

 

  • 관계: 가족, 친한 친구, 일반 지인, 직장동료 등
  • 상황: 결혼식 규모, 장소, 식대 수준, 참석 여부
  • 경제적 여건: 본인의 재정 상태와 여유
최근 조사에서 79%가 ‘관계 친밀도’를 축의금 금액 결정의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꼽았습니다.
 

축의금 기준

 

2. 결혼식 축의금 기준 (2025년)

 

2024년 평균 결혼식 축의금은 8만 3천 원이었고, 2025년 현재는 약 9만 원으로 추정됩니다. 결혼식 축의금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가벼운 지인·직장 동료: 5만 원 (식사·답례품 없는 경우)
  • 살짝 친분 있는 사람: 7만 원
  • 친한 친구·가까운 동료: 10만 원
  • 절친·신랑·신부 부모와 친분: 15만 원 이상
  • 가족: 형제·자매 30만 원 이상, 부모 50만 원 이상
주의: 4만 원은 ‘사(死)’ 발음과 같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홀수 금액(5·7·10·15만 원 등)을 선호합니다.
 

 

 

3. 상황별 고려 사항

 

  • 참석 시: 평균 식대(8만 6천 원) 고려해 10만 원 이상
  • 불참 시: 최소 5만 원 디지털 송금 + 축하 메시지
  • 호텔·고급 웨딩홀: 20만 원 이상 권장
  • 동반자 참석: 금액 상향 (예: 15~20만 원)
  • 이전 경조사 금액 고려: 받은 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4. 축의금 기브앤테이크 원칙

 

축의금은 받은 만큼 주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적 규범입니다. 이전에 상대방의 경조사에서 받았던 금액을 참고해 비슷하거나 조금 더 주는 것이 좋습니다.

 

 

 

5. 축의금 15만원, 괜찮을까?

 

예전엔 5·10·20만 원이 일반적이었지만, 식대와 물가를 고려해 축의금 15만원이 새로운 표준처럼 자리 잡았습니다. 특히 절친이나 부부 동반 참석 시 적절합니다.

 

 

 

6. 돌잔치 축의금 기준

 

  • 일반 지인이나 직장동료 : 3~5만원
  • 친한 친구나 가족 : 10~20만원

돌잔치는 가족 단위 참석이 많아, 2인 기준 식대를 고려해 결정하면 됩니다. 고급스러운 장소나 대규모 행사라면 금액을 조금 올리는 것도 좋겠습니다.

 

7. 법적 한도 (청탁금지법)

 

  • 공직자: 축의금 5만 원, 화환·조화 10만 원까지 허용
  • 친족(8촌 혈족, 4촌 인척, 배우자): 한도 제한 없음
  • 직무 관련성이 있으면 5만 원 이하

 

8. 축의금 봉투와 쓰는 법

 

  1. 앞면 중앙에 ‘축의’ 또는 ‘축결혼’ 작성
  2. 뒷면 하단에 이름 기재 (부부 참석 시 ‘홍길동·김영희’)

 

 

축의금 봉투 쓰는법, 결혼식·돌잔치·팔순잔치·개업까지 완전 정리

결혼식이나 돌잔치에 갈 때, 축의금 봉투 쓰는 법을 잘 모르면 괜히 헷갈리죠?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 법과 위치, 한글·한자 표기, 친구 결혼식 예시, 다이소 축의금 봉투 활용까지 상황별로 쉽

meiiilog.com

 

9. 축의금 부담 줄이는 방법

 

  • 5만 원 + 작은 선물
  • 동료·친구와 단체 축의금

 

결론

 

2025 축의금 기준은 관계·상황·경제적 여건을 모두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금액보다 중요한 건 진심 어린 축하의 마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