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유용한 정보/건강정보

양극성장애 치료 방법 및 효과

by 메이로그인 2025. 9. 23.

 

 

 

 

양극성장애의 치료는 약물뿐 아니라 심리치료가 병행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심리 치료 방법인 인지행동치료(CBT), 가족 치료, 집단 치료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양극성장애 치료

 

 

 

 인지행동치료 (CB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인지행동치료는 부정적이고 왜곡된 사고 패턴을 발견하고 수정함으로써 감정과 행동을 개선하는 심리 치료법입니다. 양극성장애 환자는 흔히 자신을 과소평가하거나 미래를 비관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자동 사고를 조절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치료 목표

  • 비합리적인 사고 교정
  • 감정 조절 기술 습득
  • 스트레스 및 재발 대응 능력 향상
  • 자기인식 및 행동 변화 유도

 

치료 구성 예시

주차 치료 내용
1~2주차 질환 이해, 치료 목표 설정
3~5주차 왜곡된 사고 식별 및 분석
6~8주차 감정 조절 및 행동 실험
9~12주차 재발 예방 전략 수립 및 종료

 

Tip: 일반적으로 12~16회기로 구성되며, 주 1회 상담이 기본입니다.

 

 

 

 

 가족 치료 (Family-focused Therapy)

 

가족 치료는 환자뿐 아니라 가족이 함께 참여하여 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관계 갈등을 줄이며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가족이 질환을 잘못 이해하고 환자를 비난하거나 통제하면, 증상이 오히려 악화될 수 있습니다.

 

 

양극성장애 치료법

 

 

치료 목표

  • 가족의 병식(질환 이해) 향상
  • 의사소통 능력 개선
  • 감정 조절 및 갈등 관리
  • 재발 예방 및 위기 대처 계획 수립

 

치료 구성 예시

단계 주요 내용
초기 양극성장애에 대한 정보 교육
중기 소통 훈련, 갈등 해결 전략
후기 재발 대응 계획 수립 및 가족 역할 정립

 

연구 결과: 가족 치료를 받은 환자는 재발률과 입원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고됨.

 

 

 

 

 

 집단 치료 (Group Therapy)

 

집단 치료는 유사한 문제를 겪는 환자들이 모여 공감하고 경험을 나누며 정서적 지지를 얻는 심리 치료입니다. 혼자 아프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다른 사람과 함께 극복해 나간다는 점에서 치유 효과가 큽니다.

 

 

양극성장애 치료법

 

 

치료 목표

  • 공감과 소속감 향상
  • 정서적 위로와 희망 회복
  • 문제 해결 전략 공유
  • 사회적 기술 및 자기 인식 개선

진행 방식

  • 회기 수: 주 1회, 총 8~12주
  • 참여 인원: 6~10명
  • 방식: 주제 토론, 역할극, 감정 나누기, 피드백 등

예시 주제

  • “조증 상태에서 겪었던 일”
  • “가족과의 갈등, 어떻게 풀었나요?”
  • “약 복용에 대한 내 생각”
  • “다시 우울해질까 봐 두려워요”

 

Tip: 지역 정신건강센터, 병원 외래 프로그램 등에서 참여 가능

 

 

 

 

 

 세 가지 치료 방식 비교

 

치료 유형 주요 특징 대상 목표
인지행동치료 (CBT) 생각과 행동 교정 중심 환자 본인 감정·행동 조절
가족 치료 가족 간 갈등 완화, 병식 개선 환자 + 가족 정서적 지지, 재발 방지
집단 치료 환자 간 상호 지지 및 정보 공유 유사한 증상의 환자들 공감, 희망 회복

 

 

 

 마무리

 

약물 치료만으로는 양극성장애를 완전히 다스리기 어렵습니다. 감정과 관계, 사고방식까지 다루는 심리 치료는 재발을 막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당신의 회복을 위한 또 다른 길, 심리치료를 시작해 보세요.

 

 

 

양극성장애 증상이란? 조울증이 아닌 병입니다

극단적인 감정 기복, 단순한 ‘기분 탓’ 아닙니다 – ‘기분이 널뛰듯 바뀐다’, ‘어제는 너무 행복했는데 오늘은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아’… 혹시 이런 경험, 반복되시나요? 단순한 감정

meiiilo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