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밌는 정보/신기한 상식

다꽝의 뜻과 유래: 단무지를 처음 만든 사람은 누구일까? 다꽝 스님 이야기

by 메이로그인 2025. 8. 2.

김밥이나 짜장면 먹을 때 빠지지 않는 반찬, 바로 단무지죠. 그런데 이 단무지가 일본 승려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단무지의 원조는 일본의 다쿠앙 소호(沢庵宗彭)라는 승려에게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어릴 적 많이 들어봤던 '다꽝?'

다꽝은 일본어 ‘다쿠앙(たくあん)’이 한국식으로 변하면서 생긴 말로,
옛 세대에서 단무지를 부르던 구어적 명칭입니다.”

 

어릴 적 어른들이 단무지를 가리켜 “다꽝”이라고 부르는 걸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실제로 예전에는 단무지를 다꽝, 닷꽝, 닷광 등으로 부르던 지역도 많았어요. 그 다꽝이 일본어인 줄은 몰랐네요.

 

 

다꽝

 

다꽝 - 澤庵, takuan :

무를 시들게 말려 소금에 절인 후 쌀겨로 발효시킨 일본식 짠지.

 

단무지 :

단맛 나는 무짠지

 

단무지의 어원, 다쿠앙에서 왔다

일본어로 단무지는 たくあん(다쿠앙)이라고 불러요. 이 단어는 에도시대 승려였던 다쿠앙 소호(1573~1645)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죠.

그는 절약과 수행을 중시한 승려였고, 남은 무를 저장하기 위해 간장이나 소금으로 절인 음식을 만들었는데, 그 방식이 인기를 끌면서 그의 이름이 곧 음식의 이름이 된 것입니다.

단무지 유래, 어떻게 한국에 들어왔을까?

단무지가 한국에 전해진 것은 일제강점기 무렵으로 추정돼요. 일본의 절임 문화가 한반도에 들어오면서 다쿠앙이 ‘단무지’라는 한국식 이름으로 자리 잡게 된 거죠.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더 달고, 노란색이 강조된 형태로 발전했어요. 특히 강황이나 색소를 사용해 노란색을 입히는 것이 특징이 되었습니다.

단무지와 다쿠앙, 뭐가 다를까?

  • 다쿠앙: 일본식 전통 절임 무. 보통 짠맛과 감칠맛이 강함
  • 단무지: 한국식으로 개량된 절임 무. 단맛이 강조되고 색소 사용이 많음

외형은 비슷하지만, 맛이나 조리 방식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어요. 그래서 한국식 단무지는 일본 다쿠앙보다 더 달고 아삭한 맛을 내죠.

마무리하며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먹는 단무지가 수백 년 전 일본 승려의 이름에서 유래됐다는 건 꽤 흥미로운 사실이에요. 음식은 단순히 먹는 것을 넘어서, 문화와 역사, 언어가 녹아 있는 콘텐츠라는 걸 보여주죠.

다음에 김밥을 먹을 때, “이 단무지의 원조는 다쿠앙 스님이야~” 라고 이야기해 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