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독감 시즌. 병원에서 진단을 받을 때 “A형 독감이네요” 혹은 “B형 독감입니다”라는 말을 듣지만, 두 독감의 차이를 정확히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
사실 A형과 B형은 모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지만, 전염력과 증상, 그리고 유행 시기가 서로 다릅니다. 이 차이를 알아두면 예방과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A형 독감과 B형 독감의 근본적인 차이점을 의학적 근거와 함께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독감이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란?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A형, B형, C형으로 구분되며, 이 중 A형과 B형이 주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킵니다.
A형은 변이가 잦아 매년 새로운 유행형이 나타나는 반면, B형은 비교적 안정적인 형태로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즉, 매년 독감 백신을 새로 맞아야 하는 이유도 바로 A형 바이러스의 변이 때문입니다.

A형과 B형 독감의 공통점
두 종류 모두 고열, 기침, 근육통, 피로감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감기보다 훨씬 심한 전신 증상이 동반됩니다. 또한 비말(침방울)을 통해 감염되며, 잠복기는 보통 1~4일 정도입니다. 감염 후 5~7일 동안 전염성이 유지되므로 격리와 마스크 착용이 필수적입니다.
A형 독감 특징
전염력과 변이성
A형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에서도 가장 전염성이 강합니다. 사람뿐 아니라 돼지, 새 등 동물에도 감염될 수 있어,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변이 속도가 빨라, 매년 새로운 형태로 나타나며 대유행(pandemic)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유행한 신종플루(H1N1) 역시 A형 독감의 일종이었습니다.

주요 증상
- 갑작스러운 고열(38도 이상)
- 극심한 근육통과 두통
- 기침, 인후통, 마른기침
- 심한 피로감과 무기력
- 소화기 증상(특히 소아에게서 구토, 설사 등)
A형 독감은 증상이 급격하게 시작되고, 전신 통증이 심한 것이 특징입니다. 대부분 5일 이상 증상이 지속되며, 회복 후에도 한동안 피로감이 남습니다.
B형 독감 특징
전염 범위와 특징
B형 독감은 사람에게만 감염됩니다. 동물에게는 전파되지 않기 때문에 A형보다 유행 규모가 작습니다. 또한 변이 속도가 느려, 매년 큰 폭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결코 가볍게 볼 수는 없습니다. B형 독감은 회복까지 오래 걸리고, 증상이 길게 지속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주요 증상
- 미열 또는 고열(37~39도)
- 지속적인 기침과 인후통
- 근육통 및 피로감
- 소화불량, 식욕저하
- 복통이나 구토(특히 소아에서 흔함)
B형 독감은 열이 A형만큼 높지 않은 경우도 많고, 증상이 비교적 완만하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하지만 합병증(예: 폐렴, 중이염, 심근염)이 발생할 수 있어 방심은 금물입니다.
A형 독감과 B형 독감의 차이 요약
| 구분 | A형 독감 | B형 독감 |
|---|---|---|
| 감염 대상 | 사람 + 동물(조류, 돼지 등) | 사람만 감염 |
| 변이 속도 | 빠름 (매년 새 변이 출현) | 느림 (주로 고정된 형태 유지) |
| 전염력 | 매우 강함 | 중간 정도 |
| 유행 시기 | 초겨울~한겨울 (12~1월) | 늦겨울~봄 (2~4월) |
| 대표 증상 | 고열, 근육통, 극심한 피로 | 지속적 피로, 인후통, 소화기 증상 |
| 합병증 | 폐렴, 기관지염, 심근염 등 | 중이염, 폐렴, 장염 등 |
Q&A: 자주 묻는 질문
Q1. A형 독감과 B형 독감은 동시에 걸릴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실제로 드물지만 A형과 B형이 같은 시기에 유행할 때, 두 바이러스에 동시에 감염되는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이 경우 증상이 더 오래가고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Q2. 두 독감의 치료 방법은 다른가요?
A. 치료 원칙은 동일합니다. 모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억제제(예: 타미플루)를 사용하며, 증상 시작 후 48시간 이내에 복용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다만, 고열이나 기침이 심한 경우에는 해열제나 진해제 등을 병행하여 대증치료를 합니다.
Q3. 예방접종으로 두 독감을 모두 예방할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독감 백신은 A형 2종, B형 2종을 포함한 4가 백신입니다. 즉, 한 번의 접종으로 A형과 B형 모두 예방할 수 있습니다.
Q4. A형 독감이 B형보다 더 위험한가요?
A. 일반적으로는 A형이 더 전염력이 강하고 증상이 심한 편입니다. 하지만 B형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볼 수 없습니다. 특히 어린이와 노약자에게는 두 유형 모두 위험할 수 있습니다.
Q5. 독감에 걸렸을 때 집에서 할 수 있는 대처법은?
A.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해열제를 복용하더라도 열이 계속되거나, 호흡곤란이나 흉통이 생기면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집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가족 간 접촉을 최소화해 2차 감염을 막아야 합니다.
[이미지 위치: 가정에서 마스크 쓰고 쉬는 가족의 모습]
마무리: 독감, 유형보다 중요한 것은 ‘대처 시기’입니다
A형 독감이든 B형 독감이든,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 발견과 빠른 대응입니다. 두 바이러스 모두 고열과 전신 통증을 유발하며, 심할 경우 폐렴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인, 임산부는 예방접종과 개인 위생 관리가 필수입니다.
올바른 손 씻기, 기침 예절, 충분한 휴식, 그리고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실천한다면, 두 독감 모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겨울, 건강한 일상을 위해 지금부터 준비해 두세요.
https://meiiilog.com/entry/독감예방접종-무료대상날짜-2025-2026절기
독감예방접종 무료대상날짜 (2025-2026절기)
독감 예방접종 언제 맞아야 하나요? 매년 가을이 다가오면 독감 예방접종 시기와 비용, 무료 대상자에 대해 확인해 볼 텐데요.특히 올해부터 기존 4가 백신에서 3가 백신으로 바뀐 내용도 있습니
meiiilog.com
https://meiiilog.com/entry/독감-격리-기간-몇일-언제까지-쉬어야-할까
독감 격리 기간 몇일 언제까지 쉬어야 할까?
매년 겨울만 되면 찾아오는 독감. 기침과 발열로 고생하는 것도 힘든데, 독감격리 의무기간으로 독감격리 몇일 인지 '언제까지 격리해야 하지?', '학교나 회사는 언제 복귀할 수 있을까?'라는 고
meiiilog.com
https://meiiilog.com/entry/감기-빨리-낫는-방법
감기 빨리 낫는 방법
갑자기 목이 칼칼하고 몸이 으슬으슬 떨릴 때, "아, 감기 오려나?" 싶은 순간이 있죠. 일상에 바쁜 현대인에게 감기는 단순한 질병 그 이상으로, 업무나 일상생활의 흐름을 끊어버리는 존재입니
meiiilog.com
https://meiiilog.com/entry/인후통-빨리-낫는법-목감기-원인-증상-완화-방법과-예방법
인후통 빨리 낫는법: 목감기 원인 증상 완화 방법과 예방법
목이 아프기 시작하면 ‘감기인가?’ 싶지만, 가볍게 넘겼다가는 며칠 동안 고생하게 되죠. 특히 환절기엔 인후통이 감기의 전조가 되기 쉬워요. 그래서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인후
meiiilog.com
https://meiiilog.com/entry/A형-독감-수액-치료-정말-효과-있을까
A형 독감 수액 치료 정말 효과 있을까?
A형 독감은 갑작스러운 고열, 극심한 피로, 몸살처럼 온몸이 쑤시는 통증 등으로 많은 사람들을 힘들게 합니다. 특히 열이 며칠씩 지속되면서 식사도 제대로 못하고 물도 넘기기 힘든 상태가 되
meiiilog.com
'알아두면 좋은 유용한 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왼쪽 겨드랑이 밑 통증 (0) | 2025.10.31 |
|---|---|
| A형 독감 수액 치료 정말 효과 있을까? (0) | 2025.10.31 |
| A형 독감 증상, 놓치면 큰일! 정확히 알아보자 (0) | 2025.10.31 |
| 독감 격리 기간 몇일 언제까지 쉬어야 할까? (0) | 2025.10.31 |
| 간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0) | 20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