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유용한 정보/생활정보

추석 차례상 차림그림(추석 차례상 간소화)과 제사상 차리는 방법

by 메이로그인 2025. 10. 2.

 

 

매년 돌아오는 명절마다 헷갈리는 것이 바로 차례상 차리는 법과 제사와 차례의 차이입니다. 특히 시대가 바뀌며 전통을 간소화하려는 움직임도 커지고 있어,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실용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제사상의 기본 원칙, 그리고 간소화 차례상 차리는 법까지 한눈에 알아보겠습니다.

 

추석 차례상차람

 

 

추석 차례상

 

제사란?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님께 음식을 차려 올리고 정성으로 예를 다하는 의식입니다. 주로 돌아가신 날(기일)에 맞춰 지내며, 조상의 음덕에 감사하고 후손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제사의 종류

 

  • 기제(忌祭): 돌아가신 조상의 기일에 지내는 제사로, 가장 일반적입니다.
  • 묘제(墓祭): 조상의 묘소에서 지내는 제사입니다. 성묘와 함께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차례(茶禮): 명절(설날, 추석 등)에 조상을 모시는 예식으로, 일반 제사보다 간소한 편입니다.

 

 

추석 차례상

 

 

 

 

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구분 제사 차례
시기 기일에 지냄 (사망일) 명절에 지냄 (설, 추석)
장소 집 안 또는 사당 집에서 간단히 지냄
형식 엄격한 제례 형식 간소화된 예식
음식 전통 제사 음식 전부 포함 대표 음식 위주 (예: 송편, 탕국)
시간 낮(오전)

 

 

 

 

 

제사상 차례상 차리는 방법 (5열 기준)

 

 

차례상 차리는 법

추석 차례상 차림그림

 

 

 

추석 차례상 차림그림

 

 

 

 

제사상은 보통 5열로 구성합니다. 상을 마주 보고 섰을 때 신위와 가장 먼 쪽이 1열, 가까운 쪽이 5열입니다. 각 열에 어떤 음식을 어떤 방향으로 놓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열 – 반서갱동 / 시접거중

  • 반서갱동(飯西羹東): 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놓습니다.
  • 시접거중: 수저 담은 그릇(시접)은 신위 앞 중앙에 놓습니다.
  • 함께 떡도 올립니다.

2열 – 어동육서 / 동두서미 / 배복방향

  •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에 놓습니다.
  • 동두서미(東頭西尾):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도록 둡니다.
  • 배복방향: 생선포나 닭은 등이 위로 가도록 놓습니다.
  • 적(소고기, 닭고기 등), 전 종류가 포함됩니다.

3열 – 육계소어

  • 육계소어(肉鷄蔬魚): 소고기국, 두붓국, 닭국, 생선국 등을 포함합니다.
  • 여러 가지 국 종류를 올립니다.

4열 – 좌포우혜 / 산야가해 / 생동숙서

  • 좌포우혜(左脯右醯): 육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둡니다.
  • 산야가해: 산 → 들 → 집 → 바다 순으로 음식을 배열합니다.
  • 생동숙서: 날 것은 동쪽(김치), 익힌 것은 서쪽(나물)에 둡니다.
  • 김치는 백김치나 동치미만 사용하며, 향신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 TIP: 후추나 고춧가루, 마늘 같은 향이 강한 재료는 제외해야 하며, 현대 육포 대신 전통 건조 방식의 육포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없을 경우 생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5열 – 조율이시 / 홍동백서

  • 조율이시(棗栗梨柿): 대추, 밤, 배, 감 순서로 놓습니다.
  •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둡니다.
  • 지역에 따라 조율시이로 놓는 경우도 있습니다.

 

 

 

 

✅ 차례상 준비 시 주의할 점

 

  • 젓가락, 숟가락은 상 위에 올리지 않습니다.
  • 음식은 짝수보다 홀수 개로 담는 것이 좋습니다.
  • 모든 음식은 넘치지 않게, 조화롭게 배치해야 합니다.
  • 생선은 반드시 머리가 왼쪽(동쪽)으로 가도록 놓습니다.

 

 

✅ 추석 간소화 차례상

 

추석 간소화 차례상

 

 

 

성균관 유도회는 매년 명절을 앞두고 “전통을 지키되, 과도한 준비로 인한 부담은 줄이자”는 취지로 간소화 차례상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 권장안은 전통 예법을 기반으로 하되 실용성을 고려한 것으로, 실제 많은 가정에서 참고하고 있습니다.

 

성균관 제사상 표준안 주요 내용

 

기본 음식 구성

  • 송편, 나물, 구이(적), 김치, 과일, 술 등 6가지가 기본이며, 여기에 육류, 생선, 떡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전, 튀김 등 기름진 음식은 예법에 어긋난다고 하여 올릴 필요가 없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최소한의 구성으로도 예를 갖출 수 있으며, 불필요하게 많은 음식을 준비하느라 시간과 비용, 노동력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것을 지양하자는 것이 핵심입니다.

 

 

 

 

마무리

 

제사상 차림은 집안, 지역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형식보다 중요한 것은 조상을 향한 예와 정성입니다. 올 추석에도 조상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며, 정성껏 차례상을 준비해보세요.

 

그럼 가족들과 따뜻하고 풍성한 추석 명절 보내시기 바랍니다

 

 

 

 

추석 선물세트 추천 인기 순위 | 어린이집·유치원·부모님 명절 선물

추석이 다가오면 추석 명절 선물을 무엇으로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 많습니다. 부모님께 드리는 고급명절선물, 부모님 추석선물, 어린이집 추석선물과 유치원 추석선물처럼 선생님들께 감사의

meiiilog.com